서브메뉴

“꿈, 열정, 에너지 가득한 복지실습장학생들의 이야기”

복지실습장학생들은 예비사회복지사로 성장하기 위하여 매일 그날의 교육내용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의견과 생각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사로의 꿈을 펼칠 복지실습장학생들을 응원해주세요!

2024년 1월 29일 (월) 실습일지 백기범

2024.01.30

  • 작성자 백기범
  • 조회수 129
  • 학교 강남대학교
  • 실습일 2024-01-29
  • 실습내용 09:30-10:00 아침회의
    10:00-12:00 장애이슈토론 (이용진 과장님)
    13:00-18:00 행복나눔캠페인 (허수민 선임사회복지사님)
  • 첨부파일 01-29백기범 실습일지.hwp

장애이슈토론

장애이슈 토론을 진행하며 장애이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들을 수 있었다. 우리 조의 경우 장애인 이동권시위의 찬반 의견과 이에 대한 우리 조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여 발표했다. 찬성의 경우에는 장애인 이동권시위는 단지 이동권이 아닌 장애인 인권의 포괄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이에 전장연의 4가지 요구사항을 근거로 제시하였다. 하지만 여기서 아쉬웠던 점은 4가지 요구사항의 이유를 생각하지 못한 것이다. ‘24시간 활동지원 비용의 경우에는 장애인의 재난상황 혹은 문제상황 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하다. 또한, ‘장애인 평생교육의 경우 장애인이 고등학교 졸업 후 무슨 일을 할 것 같냐? 라는 과장님의 질문에 선뜻 대답하지 못했다. 그리고 이것이 장애인 평생교육일 필요한 이유였다. 이처럼 장애인은 상대적으로 직업에 제약이 겪고 있기에 많은 사람들이 선뜻 질문에 대해 대답하지 못한다. 이에 장애인의 자립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우리 조는 이동권 시위에 찬성에 대해 깊이 알아보지 못했다. 결론만 생각하기 급급했다. 이에 장애인 이동권에 대해 공감하거나 나의 생각을 다시 한번 정리해 볼 필요성을 느꼈다.

다른 조에서는 미디어에서 나타나는 장애인, 발달장애인의 성, 장애인 활동 지원에 관해 이야기 해주었다. 다양한 주제로 다양한 의견을 들을 수 있어 좋았다. 그중 가장 기억에 남는 이야기는 첫 번째 조의 미디어 속 장애인의 모습이었다. 최근 미디어에서는 실제 장애인들이 자신의 삶을 사람들에게 알리기도 하고 드라마에 등장인물로 장애인을 등장시키는 경우가 많다. 이에 과거보다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친숙하고 긍정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장애인의 미디어 노출이 많아지는 만큼 우려사항도 많았다. 실제 우영우라는 드라마가 유행할 때 많은 청소년이 드라마 속 자폐장애인 우영우의 행동을 따라 하여 하나의 웃음거리로 만드는 경우가 있었다. 이처럼 장애인에 대한 접근이 미디어로 인해 쉬워지며 긍정적 영향도 있지만 동시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우영우의 경우처럼 많은 사람들이 장애인을 따라 할 수 있으며 모든 자폐장애인을 우영우같은 사람이라 생각할 수도 있다. 이에 나는 지나치게 장애인을 극적인 요소로 사용되는 미디어매체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며 과거보다 장애인에 대한 정보, 접근이 쉬워진 만큼 장애인식교육에 있어 이러한 미디어매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행복나눔캠페인

오늘은 행당역에서 행복나눔캠페인을 진행하였다. 행당역은 복지사님들 또한 처음 방문한 지역이라 후원개발의 목적과 동시에 후원개발 장소의 적합성을 판단하고자 하셨다. 먼저, 행당역의 경우 왕십리와, 혜화와는 달리 지역사회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에 저번과 달리 역 앞, 광장에서 캠페인을 진행하지 않고 좁은 길목에서 진행했기에 사람들에게 접근하기 쉬웠으며 유동인구 또한 많지 않아 한 명 한 명 눈을 마주치며 캠페인을 진행할 수 있었다. 그러다 보니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우리에게 관심을 보였다. 하지만 그게 다였다. 캠페인을 하며 만나 사람들은 대부분 학생과 어르신이었다. 이에 학생들에게는 후원을 선뜻 권유하지 못해 승가원을 알리는 데 만족해야 했고 어르신들의 경우 우리에게 관심을 가져 주셨지만 후원개발까지 이어지지 못했다. 어르신들에게 후원을 부탁드리면 옛날에 많이 했는데 이젠 다 그만뒀어라는 반응이 대다수였다. 이에 저번에 참여했던 행복나눔캠페인을 기억통해 후원개발까지 이어진 사람들의 경우 대부분 젋은 연령층에 사람임을 기억할 수 있었다. 실제 복지사님의 말씀 또한 길거리 모금에 참여해 주시는 사람들의 경우 젊은 연령층에 사람이 많다고 말씀해 주셨다. 이러한 점을 고려했을 때 오늘 캠페인을 진행한 행당역은 후원을 개발하기에는 어려운 지역이란 생각을 했다.

마지막 캠페인 참여이니만큼 오늘은 어프로치에 만족하지 않고 후원개발까지 성공하는 걸 목표로 생각했지만 이를 이루지 못해 매우 아쉬웠다. 하지만 세 번의 캠페인 참여를 통해 점점 더 성장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첫 번째 행복나눔캠페인과 오늘의 나의 모습을 비교해 보면 어프로치에서 승가원과 행복나눔캠페인을 설명할 때 확신을 갖고 설명할 수 있었다. 이는 교육을 통해 승가원에 대해 알게 되고 실제 행복마을을 방문하여 행복마을이 갖는 가치를 체감하니 자연스럽게 나의 설명에 확신을 가질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이에 모든 대화에 있어 이를 뒷받침할 근거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었다.

 

정기후원신청